본문 바로가기
화장품공부하기

화장품의 원료 유성원료

by WithToday 2022. 4. 28.
반응형

1. 유성원료 ; Oily materials

유성 원료는 화장품의 구성 성분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피부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고, 사용 감촉을 향상 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오일들, 왁스들이 여기에 포함.

 

 

 

2. 유성원료 종류 

1) 유지(Oils and fats)

유지는 지방산과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테르(트리글리세리드)가 주성분이며,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한다. 유지 중에 상온에서 액상인 것을 지방유, 고체인 것을 지방이라고 한다.

화장품 원료로서 유지는 천연에서 얻은 것을 탈색, 탈취 등 정제하여 사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부분 또는 완전하게 수소 첨가해서 경화유지로 사용하거나, 혹은 냉각해서 고체유지를 제거한 다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유지는 동식물 및 미생물에 의하여 생산되므로 종류는 많지만, 화장품 원료로서는 비교적 그 종류가 제한되어 있다.

->천연의 경우, 불안정한 성분들도 많아서 화장품에 적용했을 경우 화장품 Stability 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탈색, 탈취를 하는 것도 그런 이유.

 

 

 

 

*올리브오일(Olive oil)

올리브의 열매를 압착하여 억든 지방유이다. 

주산지는 스페인, 이탈리아 등의 지붕해 연안 지방이다.

구선 지방산은 올레인산(65~85%)이 많고, 그외 팔미트산(7~16%), 리놀산(4~15%)등이다.

올리브오일은 피부 표면으로부터 수분증발 억제나 사용감촉의 향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올레인산(oleic acid)는 C17H33COOH의 화학식을 가지고 있고, 주로 동식물에 존재 구조는 아래와 같음.

출처: 네이버지식검색

 

 

 

*동백오일( Camellia oil)

동백나무의 종자에서 얻은 지방산이다. 구성 지방산으로서는 올레인산(82~88%)이 많고 그외 팔미틴산 등의 포화지방산(8~10%)과 리놀산(1~4%) 등이 포함되어 있다.

올리브오일과 성상 등이 유사하며 크림, 유액 등에 사용된다. 또 옛날부터 두발용 기름으로 사용되어 왔다.

 

 

 

*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nut oil)

 오스트레일리아가 원산지인 야마모가시과의  Macadamia ternifolia의 열매를 압착하여 얻어지는 지방유이다.

구성 지방산으로서는 올레인산(50~65%)이 주성분이고 식물유지로서는 드물레 팔미트레인산(20~27%)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 특성이 사용감촟ㄱ 등을 향상시키지도 해서, 크림, 유액, 립에 사용된다.

->마카다미아씨오일의 지방산성분은 피지의 글리세라이드의 지방산성분과 아주 비슷해서, 피부에 잘 맞는 유성이다. 또 리놀산은 소량이 들어 있으나 리놀렌산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산화에 대해 안정하다.

아래 표를 보면, 피지조성과 마카다이마씨오일의 조성이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출처: 네이버지식검색

 

* 캐스터오일(Castor oil)

인도 또는 아프리카 원산지인 피마자(아주까리),  Ricinus communis Linne'(Euphorbiaceae)의 종자에서 얻어지는 지방유이다. 지방산으로서 하이드록시산인 리시놀산(85~95%)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다른 유지에 비해 친수성이 높고 점성이 있으며 에탄올에 용해된다. 이러한 특성을 살려서 립이나 포마드 등에 사용되고 그 외에 염료(적색223호: 테트라브롬플루올레세인)의 용해제로서 사용된다.

->사실 화장품에서는 PEG를 붙여 가용화제로  많이 사용한다. 

 

 

2) 왁스류 ;  Wax essters

왁스류는 화학 구조상,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옹르이 에스텥르이며 동식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동식물에서 얻은 왁스는 저ㅗㄴ술한 에스테르가 주성분이고, 이 외에 유리 지방산, 고급알코올, 탄화수소, 수지류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 왁스류를 구성하는 지방산이나 고급 알코올은 유지의 경우와 달리 C20~C30을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다.

왁스류는 기초화장품이나 메이크업 화장품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주된 사용목적은 립을 고형화 하거나 광택을 부여하고 사용감촉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

남미 특히 브라질 북부에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높이 약 10m의 카나우바야자, co-pernicia cerifera Mart(Palmae)의 잎 또는 잎꼭지로부텉 채취되는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운 왁스이다.

C20-C30의 지방산과 C28-C34의 아알코올로 이루어진 에스테르이고 특히 아이드록시산 에스테르가 많다. 융점은 80~86도로 식물왁스 중에서는 높은 편이다.

카나우바왁스를 사용하는 주목적은 립과 같은 슽틱상 제품의 광택부여와 내온성 향상 등에 있다.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

멕시코 북서부, 미국 텍사스주 등 온도차가 심하고 비가 적은 건조한 고원지대에서 생육하고 있는 칸데릴라 식물 등의 중기로부터 얻은 왁스를 정제한 것이다.

C16-C34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약 30% 헨트리아콘탄(C31H64)등의 탄화수소가 약 45%, 미리실 알코올 등의 유리 알코올, 수지분 등이 25%이다.

립등의 스틱상 제품에 광택이나 내온성 향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출처: 신화장품학 참고

반응형

댓글